본문 바로가기
문화생활 (후기)/책

열두 발자국 간단후기 및 요약(1부)

by 가지_hi 2022. 7. 2.

간단후기

동기부여를 목적으로 하는 자기계발서가 아님에도 내게는 동기부여가되는 구절들이 많았다.

 

1부 : 더 나은 삶을 향한 탐험 - 뇌과학에서 삶의 성찰을 얻다

*소제목별로 동기부여되는 구절/용어 모음

 

[프롤로그]

결과를 예측할 수 없는 상황에서 호기심, 도전정신 같은 자발적 동기만으로 끝까지 몰두해 해답 얻거나 무언가 이루어내는 건 세상을 바꾼 사람들이 보이는 가장 강력한 특징.

호기심, , 재미, 보람 등 다양한 내적 동기. 명예, 인정, 직위, 인센티브 등 외적 동기. 이런 동기들에 지속적 의미 부여하며 뜻한 바 이루기 위해 끝까지 천착하는 사람들이 결국 세상을 변화시킨다. 사회적 성취를 이루는 데 있어 외적 동기와 내적 동기가 잘 균형잡힌 사람들이 세상을 의미 있게 변화시킨다고 한다. 9p

 


 

[1장. 선택하는 동안 뇌에서는 무슨 일이 벌어지는가]

처음 해보는 일은 계획할 수 없다. 혁신은 계획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다양한 시도와 계획을 끊임없이 수정해나가는 과정에서 혁신이 이루어진다. 우리는 목표 완수 위해 계획을 끊임없이 수정하는 법 배워야. 계획에 너무 많은 시간 빼앗기지 않고, 끊임없이 바뀌는 상황에 맞춰 계획 수정하며 실행해나가는 과정에서 우리는 더 많은 것 얻는다. 특히 처음 해보는 일에서는 계획보다 실행력이 더 중요하다. 25p

ex)마시멜로 챌린지의 유치원생 전략 : 일단 만들어보고 잘못되면 다시 고치면 되지

 

▶Tunnel vision : 상금이 커질수록 사람들은 시야가 좁아지고 조급해진다. 29p

 

어떻게 더 나은 의사결정을 할 수 있을까? : 인센티브에 너무 민감하지 말 것, 계획에 너무 매몰되지 말 것! 중요한 의사결정 할 때 후회하지 않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느냐에 관한 문제의식 가지고 인생 살아가야. 32p

Go/No go moment(결정의 순간)

 

Q. 36p 이해 안되는 부분 : 손실 회피 담당 영역 망가진 환자들이 왜 더 높은 수익률? 그게 더 합리적이라고?

 

Creative explosion(창조적 폭발) : 우리의 뇌가 합리적이지 않은 건 복잡한 현대사회에서도 원시부족사회 때 유용했던 전략으로 세상 바라보고 선택하기 때문 38p

 

70% 확신이 들면 실행하라. : 부적절한 의사결정 패턴 중 하나는 해야할 의사결정은 안하는 경우. ‘이거 괜히했다보다 그때 그걸 했어야 했는데가 나이 들어서 더 많이 하는 후회. 망설이다 실행에 옮기지 않고 기회를 놓치는 경우가 많다. 38p

70%정도 확신 들면 95% 확신 들 때까지 기다리지 말고 일단 의사결정 하고 실행해라. ‘아직 결정하지 않은 상태를 오래 방치하지 말아라. (Q.. 확신 퍼센트 넘 주관적인거 아닌가 ㅋㅋ)

 

▶Blink 가설 : 40p (지지 vs 반대)

 

1장 결론 : 시행착오 겪으며 나만의 지도 만들기

 


 

[2. 결정장애는 어떻게 극복할 수 있는가]

복잡계 과학(science of complexity)

햄릿 증후군(Hamlet syndrome)73p

Curation 마케팅 패턴으로 등장(결정장애 선택 대행) à cuz 너무 많은 정보에 노출되기 때문

Growth mindset, fixed mindset 79p

Generation maybe 80p

의사결정 할 때 그 사람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가치, 선호가 중요한 판단기준. à 의사결정 과정에서 감정이 매우 중요한 역할. 감정은 상황을 빠르게 파악하고 신속하게 행동할 수 있도록 결정 내리는 데 핵심적 역할. 이성이 감정보다 열등한 것이 아님. 감정이 만들어낸 선호와 우선순위는 의사결정에 매우 중요. 이를 파악하는 뇌 영역이 망가지면 우린 선택에 어려움 겪음. 86

과순응 행동(excessive conformity) 87

걍 무능해서 결정 못하는 건 결정장애가 아니라 우유부단한 것 90p

신중함에 관한 환상

남들에게 항상 스마트하게 보이려는 마음을 버리는 것이 중요하다.

실패해도 별일 없다는 경험을 자주 해야한다.

 


 

[3장. 결핍 없이 욕망할 수 있는가]

-결핍이 우리를 성장시킨다

마감효과(deadline effect)

집중 배당금(focus dividend)99p

-무료한 시간을 허락하기 103p

-결핍의 그림자, 터널 비전 106

우리가 가진 집중력 크기는 한정돼 있는데 그 대부분을 결핍된 것에 쏟으면 다른 것에는 젣대로 집중 못해 성취도 낮음.

하지만 그에게 부족한 결핍이 성적 문제, 먹는 문제라면 그것 외에 다른 것 거의 생각하지 않게 되고 정상적 삶 살아가는데 어려움 생김. 어린 시절 경험한 지나친 결핍이 내 생각, 판단, 행동에 큰 영향 미친다면, 내 삶을 송두리째 뒤틀거나 왜곡시킨다면, 그것이 다른 사람과의 관계 망가뜨린다면 심각한 문제. 결핍된 것에 너무 많은 생각 집중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것이 결핍의 어두운 그림자, 터널 비전.

물질적 자원의 고갈이 정신적 고갈로 이어질 수 있음.

(à 물질적 자원이 너무 부족하지 않은 환경에 나를 두어야겠다.)

 


 

[4장. 인간에게 놀이란 무엇인가]

호모 루덴스(homo ludens)

-놀이의 매력은 자발성 118

- 혁신의 열쇠

Serious play(진지한 놀이) : 진짜 의미 있는 아이디어와 정보는 회의가 아닌 커피타임에 나온다

Open space technology

-나는 어떻게 놀 때 가장 행복한가

나는 어디에서 누구와 무슨 일을 하며 살 것인가? 놀이에서 해답을 찾을 수 있다. 일과 놀이 함께 성찰

 


 

[5장. 우리 뇌도 새로고침할수 있을까]

- 인생을 다시 시작하고 싶은 욕망

-중국집에 가면 무슨 메뉴 고르시나요

과거에 어떤 음식 연속해 먹으면 그 다음은 다른 음식으로 넘어갈 것 같지만, 쥐들은 오히려 같은 걸 선택해 먹을 확률 높아짐. 경제학자들이라면 한계효용체감의 법칙으로 같은 걸 계속 선택하는 일이 잘 벌어지지 않을 거라 생각할 것. 왜 이런 일 생길까? 136

- 목표지향과 습관이라는 행동 양식 136

Goal-directed system (목표지향 영역)

Habit system (습관 뇌 영역) : 습관 시스템은 최소한의 노력으로 예측 가능한 결과 얻을 수 있는, 습관이라는 행동 패턴 만들어 사람들에게 가볍게 선택하도록 도와줌. 처음에는 목표지향적 행동을 하지만 나중에 습관으로 옮겨 가는 게 우리 일상.

- 뇌가 에너지 절약하는 방법 : 습관의 힘

삶의 진폭 140p

- 내 삶의 진폭은 얼마나 될까

새로고침이 어려운 이유는 새로고침 하려면 내 습관 바꿔야 해서. 습관 바꾸는 데 굉장히 많은 에너지 써야 함. 새로운 습관 얻기 위해 탐색해야 하고, 습관으로 자리잡기 위해 반복적 수행 해야. 그래서 새해 결심 번번이 실패

이렇게 사는 것이 삶을 예측 가능하게 해주고 안전하게 해주기 때문

습관적 행동은 사랑에서도 여실함. 사랑 관계 유지하기 위해 하는 행동들이 굉장히 유사한 패턴.사랑마저 습관화 된다

 

삶을 새롭게 뒤바꿀 수 있는 신선한 자극 있는 곳으로 먼저 내가 움직여야.

 

-절박함이 새로고침 이끈다

-후회, 인간의 고등한 능력

-20퍼센트 쯤 열어두는 삶

지식 활용(exploitation)

방법 탐색(exploration)

과거의 경험과 학습 내용 가지고 그때 그때 삶을 꾸려나가겠지만, 그중 10~20퍼센트 정도는 새로운 탐색 하는 삶 살아보길.

 


 

[6장. 우리는 왜 미신에 빠져드는가]

-비합리적인 믿음의 결과

미신 경제학 미신 관련 산업 규모 어마어마, 우리 삶에 재미 그 이상의 영향 끼침

-타자들에게 징크스가 많을까

-양치기 소년이 알려준 것

1종 오류, 2종 오류

-미신에 친화적인 뇌

-미래를 미리 알면 행복할까

-회의주의자로 살아가기

 

댓글